부동산

부동산 중개수수료 얼마? 주택·오피스텔 계산기 포함 가이드

피치머니 2025. 6. 7. 23:13
728x90

 

 

2025년 주거 형태별 중개수수료 계산법 가이드

부동산 계약 시 발생하는 중개수수료(중개보수)는 거래유형(매매, 전세, 월세)과 주거 형태(주택, 오피스텔)에 따라 상한 요율이 달라집니다. 특히 오피스텔은 전입신고 여부에 따라 중개수수료 기준이 달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중개수수료 계산법을 전문가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1. 중개수수료 계산 방식

매매의 경우: 거래금액 × 상한 요율
임대차(전세, 월세): 보증금 + (월세 × 100) × 상한 요율

※ 월세는 전세로 환산하여 계산하며, 이를 환산가액이라 부릅니다.

2. 매매 거래 중개수수료 요율표

거래 금액 상한 요율 최대 수수료
5천만 원 미만 0.5% 25만 원
5천만 ~ 2억 미만 0.4% 80만 원
2억 ~ 6억 미만 0.5% 협의 가능
6억 ~ 9억 미만 0.4% 협의 가능
9억 이상 0.9% 이하 협의 가능

3. 임대차(전세/월세) 중개수수료 요율표

환산가액 상한 요율
5천만 원 미만 0.5%
5천만 ~ 1억 미만 0.4%
1억 ~ 3억 미만 0.3%
3억 ~ 6억 미만 0.4%
6억 이상 0.8% 이하

4. 주거용 오피스텔 수수료 기준

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닌 '비주택'으로 분류되지만, 전입신고가 가능한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과 동일한 수수료 요율이 적용됩니다.

  • 전입신고 가능: 주택 중개수수료 요율 적용
  • 전입신고 불가 (업무용): 일반 상업용 부동산 요율 적용 (통상 0.9%)

계약 전 중개인에게 반드시 전입신고 가능 여부 확인을 요청하세요.

5. 수수료 협상 및 유의사항

  • 상한 요율은 법적 최대치이며, 실제 계약에서는 협의 하에 감액 가능
  • 수수료 지불 전 계약서 확인 및 영수증 필수
  • 같은 건물이라도 용도에 따라 수수료 차이 발생 가능

6. 참고 사이트

 

 

www.molit.go.kr

 

www.molit.go.kr

 

 

 

아파트 매매할 때 꼭 알아야 할 부대비용 총정리 (+7억 기준 실제 계산)

아파트 매매 시 꼭 알아야 할 부대비용 총정리 (7억 원 기준 예시 포함)디스크립션: 아파트를 구매할 때 단순히 매매가만 고려해서는 안 됩니다. 취득세, 중개수수료, 등기비용 등 다양한 부대비

peachmoney.tistory.com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