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2025년 1차 청년안심주택 모집안내 (+청년안심주택 총정리)
피치머니
2025. 4. 12. 15:13
728x90
2025년 1차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모집공고 총정리
청년 월세 부담 줄이는 현실적인 방법
서울에서 독립을 시작하려는 청년이라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현실적인 고민은 ‘월세 부담’입니다. 월세와 보증금이 모두 높은 서울에서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되셨다면,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제도를 눈여겨보세요.
서울시가 주거비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위해 시행하는 ‘청년안심주택’이 2025년 1차 모집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안심주택 자격 조건, 임대료, 신청 일정,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안심주택이란?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가 SH공사를 통해 도시형생활주택, 다세대, 원룸형 오피스텔 등을 매입 또는 임차한 뒤 청년에게 저렴하게 공급하는 임대주택 정책입니다.
민간 전세나 월세 대비 훨씬 낮은 금액으로 주거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청년층의 초기 자립을 도와주는 핵심 정책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25년 1차 청년안심주택 모집 요약
항목내용
모집규모 | 총 639세대 |
대상주택 |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 다세대, 오피스텔 등 |
임대기간 | 2년 단위 계약, 최대 6년까지 연장 가능 |
임대료 | 시세의 30~50% 수준 (보증금 전환형 선택 가능) |
모집일정 | 2025.04.15(월) ~ 2025.04.19(금) 오전 10시~오후 5시 |
입주 시기 | 2024년 하반기부터 순차 입주 |
※ 세대별 위치와 임대료 등 상세 정보는 공고문 PD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 자격 요건
- 연령: 만 19세 이상 ~ 39세 이하
- 거주 요건: 서울시 거주자 또는 서울 소재 직장/학교에 재직·재학 중인 자
- 무주택자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1인 기준 약 2,516,000원)
※ 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가구 기준 적용
※ 소득 기준 확인은 복지로 참조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2025.04.15(월) ~ 04.19(금)
- 접수 방법: 온라인 접수만 가능
- 필수 제출서류:
- 주민등록등본
- 무주택확인서류
- 재직 또는 재학 증명서
- 소득 증빙서류 등
※ 서류 심사는 4월 말~5월 초, 최종 입주자는 6월 중 발표 예정입니다.
혜택 요약
- 월세 부담 대폭 절감
주변 시세 대비 30~50% 수준의 임대료로 안정적인 주거 가능 - 보증금 전환형 선택 가능
월세를 줄이고 싶다면 보증금을 높여 월 부담 최소화 가능 - 장기거주 가능성
최초 계약 2년 + 2년 단위로 심사 후 최대 6년까지 거주 가능 - 교통, 생활 편의성 우수한 입지 확보
SH공사가 관리하는 만큼 지역 편차 적고, 접근성 높은 곳 중심 공급
마무리하며
서울에서 주거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청년 자립의 출발점입니다.
서울시 청년안심주택은 단순히 저렴한 집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청년이 삶의 기반을 갖추고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적 정책입니다.
입주 자격이 되는 청년이라면 이번 2025년 1차 모집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준비된 청년에게 더 나은 삶의 기회가 열립니다.
관련 사이트 링크
-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모집공고 바로가기
https://soco.seoul.go.kr/youth/bbs/BMSR00015/view.do?boardId=6214&menuNo=400008 - SH공사 청약센터(신청 접수처)
https://apply.i-sh.co.kr/main/ - 복지로(중위소득 확인용)
https://www.bokjiro.go.kr
300x250